본문 바로가기

이커머스 정보공유/물류뉴스

[물류뉴스] 운송시장의 핫키워드, 화물차 안전운임제란? (뉴스 포함)

 

 

 

안녕하세요, 물류를 책임지는 사업파트너

"아임유어박스 IMYOURBOX" 입니다.

 

물류시장, 물류업계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화물차 안전운임제가 무엇인지, 이번 물류뉴스를 통해 전달드리겠습니다. 

 

<화물차 안전운임제>

 

 

[화물차 안전운임제 Q&A] 

 

Q. 현재 국내 운송시장은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가?

 

A. 국내 운송시장은 사고차량, 컨테이너 등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자율적으로 운임을 산정하는 '자율운임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자율운임제도는 화물 운전수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운임을 협의하고,

책정하여 자율적으로 운임을 선정하는 '자율운임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Q. 화물차 안전운임제란, 무엇인가요?

 

A. 자율운임제도는 과로, 졸음운전 등의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운임제는 문재인 정부의 공약사항인 '물류친화적 노동정책'의

일환입니다. 법적으로 드라이버(차주)의 적정운임을 보장하여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과로, 과속, 과적 운행을 사전에 방지하여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도입하자는 것이

'화물차 안전운임제'의 중요한 골자입니다.

 

 


 

 

Q. 화물자동차 안전움임제의 시범대상은? 

 

A. 2020년 도입되는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는 도입초기 혼란방지를 위해

컨테이너, 시멘트 2개 품목에서만 3년간 한시적으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2020년 1월 1일부터 - 2022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 시행예정) 

 


Q. 화물운송 시장의 반응은 어떤가요? 

 

A. 운송물류시장에서 안전운임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아래와 같아요. 

화물운송 종사자들 : 열악한 환경개선을 위해 당장 도입이 시급하다. 

화주측 입장 : 정부가 운송운임에 직접 관여하는 것은 자유경제시장을 역행하는 것이다. 

 

 


 

[화물차 안전운임제 관련뉴스] 

 

 

아직도 팽팽한 기싸움이 벌어지고 있는 화물차 안전운임제에 대한 몇가지 뉴스를

아래의 링크를 통해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1. 시행 3개월 '안전운임제' .... 주도권 논챙 치열 -  물류뉴스 

 

시행 3개월 ‘안전운임제’… ‘주도권’ 논쟁 치열 - 물류신문

지난해 말 치열한 논쟁 끝에 본격 시행된 안전운임제가 코로나19의 위기 국면에도 불구, 우리 물류시장에 어떻게 연착륙하고 있을까에 관심이 모아지...

www.klnews.co.kr

2. 물류업계 대혼란 빠뜨린 '화물차 안전운임제' - 한경비즈니스 

 

 

물류업계 대혼란 빠뜨린 ‘화물차 안전운임제’

-정부, 1월부터 화물 차주에게 지급하는 최소 운임 공표…중간 운송업자들 부담 늘어 [한경비즈니스=이명지 기자] 새해 벽두부터 물류업계가 ‘화물차 안전운임제’로 혼란을 겪고 있다. 화물차 안전운임제는 저운임에 따른

news.naver.com

3. 대형운송사들 " 물류 최저임금제 멈춰라" 법적대응 나서 - 동아닷컴 

 

 

[단독]대형운송사들 “물류 최저임금제 멈춰라” 법적대응 나서

물류업계의 ‘최저임금제도’라 불리는 안전운임제가 올해 1월부터 시행된 지 3개월 만에 대형 운송업체들이 안전운임제 고시를 취소하고 집행을 정지해 달라며 소송을 냈다. 안전운임의 …

www.donga.com

4. 국내 13개 컨테이너 선사, 국토부 상대로 '안전운임제' 행정소송 - 데일리로그 

 

국내 13개 ‘컨’선사, 국토부 상대로 '안전운임제' 행정소송 - 데일리로그

[데일리로그 = 김수란 기자]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에 대한 관련업계 당사자간 합의가 실패로 귀결되면서, 국내 컨테이너선사들이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를 상대로 행정소송과 동시에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제...

www.dailylog.co.kr

5. 안전운임제 '날벼락 물류비 상승'... 수입, 수출형 제조업체 사업위기 - 철강금속신문

 

(이슈)안전운임제 ‘날벼락 물류비 상승’…수입·수출형 제조업체 사업 위기 

코로나19로 국내 산업이 큰 고통을 겪는 가운데 정부의 탁상론적 물류비용 체계 변화로 인해 수입·수출형 제조업체들이 큰 위기를 겪고 있다. 정부에서 어떠한 대책과 의견 반영도 이뤄지지 않고 있어 그 파장이 급격하게 커지고 있다. 당장 제조업체에게 큰 타격을 주고 있음에도 사회적 관심 부족과 대표적 의견 전달 부재 등으로 인해 문제의 심각성이 외면 받고 있다. 정부가 장기적 준비 없이 올해 1월부터 화물차량 안전운임제 시행하면서 원료와 제품을 화물차량으로

www.snmnews.com

 

 

 

 

 

 

 


 

물류뉴스는 앞으로도 여러분의 물류파트너,

아임유어박스에서 함께 하세요 

 

물류대행 아임유어박스 견적받기 바로가기